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전영객잔
여성 캐릭터 마돌린을 통해 살펴본 <디파티드>의 정치적 아포리아

무간지옥은 없다, 생지옥만 있을 뿐

영화 안에서는 중요하게 취급받지 못하고 소소한 상황 속에 처해 있다 사라지나, 극장을 떠나는 마음을 붙잡는 상황이나 인물이 가끔 있다. 나에겐 <디파티드>의 마돌린이 그랬다. 마돌린을 연기한 베라 파미가는 미국 뉴저지에서 우크라이나 이민자의 딸로 태어나, 2005년 <절망의 끝>(Down to the Bone)으로 로스앤젤레스 비평가상을 수상했다. 덴젤 워싱턴, 메릴 스트립과 함께 출연한 <맨츄리안 캔디데이트>도 있다. 거식증 의심이 들 만큼 말랐고 눈은 우울한 옅은 푸른색이고 가끔 붉은 머리로 출연하기도 했다. 그녀는 이 영화에 팜므 파탈도 아니고 순수 소녀도 아닌 프로페셔널로 등장한다. <디파티드>에서 맡은 역은 경찰을 상대하는 심리 전담 의사다. 명명백백하게 거친 남성들이 들끓는 이 영화에서 그녀는 그 남자들 중 코스티건(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심리 치료를 하고, 설리반(맷 데이먼)과 코스티건 두 남자와 섹스를 하고 설리반의 아이를 임신한다. 허문영은 코스텔로(잭 니콜슨)를 유사 아버지로 읽으면서 마돌린에게 어머니 역할을 부여했지만 그녀의 위치는 모성적이라기보다는 잔소리하진 않으나 투시력이 있는 연인에 가깝고 모호하고 다중적이다.

내가 그녀에게 관심이 가는 이유는 마돌린은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공공성, ‘퍼블릭 서비스’를 믿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설리반은 함께 살기 위해 자신의 집으로 이사 온 마돌린에게 왜 좋은 대학(하버드대 티셔츠를 입고 있다)을 나오고도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을 택하지 않느냐고 묻는다. 그녀는 공적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좋지 않냐고 소박하게 되묻는다.

경찰 퀴넌(마틴 신)도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미는 있으나, 코스티건을 갱들의 사지로 밀어넣은 사람이 퀴넌이기 때문에 온전한 공공성을 대변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낱같으나마 이 영화에서 공공성이 중요한 이유는, 아마도 프레드릭 제임슨이 <미국: 포스트 정치 사회>라는 제목의 책을 쓰고 싶을 만큼(영화 <차이나 타운> 등을 보고 글을 쓴 적이 있었다), <디파티드>는 미국사회의 정치적 아포리아, 정치적 해결전망 없음을 징후적으로 드러내는 기상도같이 보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 영화만큼 온갖 욕설을 동원해가며 미국사회의 갖가지 적대- 계급, 인종, 젠더- 를 드러내는 영화도 없다. 그러나 그뿐이다. 이탈리아계 마피아와 아일랜드계 갱의 대립은 기존의 인종적 갈등을 재확인해줄 뿐이며, 빈민층에 계급 이동의 기회는 없다. 여성을 모욕하는 욕설은 액면 그대로 증오의 언어, 더러운 말로 남아돌 뿐이다. 이 모든 적대는 두명의 첩자(쥐새끼)로 치환된다. 실제 쥐새끼가 영화 마지막 보스턴 의회가 바라다 보이는 설리반의 아파트 창가를 기어갈 때 영화의 유치한 정치적 알레고리의 무능함은 극에 달한다. 갖가지 모순이 재현되지만, 정치적 비전은 파국에 가까운 영화가 거리 정치의 재현에 민감했던 마틴 스코시즈에 의해 둔감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그야말로 연민을 두기 어려운 ‘미국의 비극’이다.

선택은 사라지고 죽음만 남다

이 점을 <무간도>와 비교하자면, 홍콩 반환 이후 홍콩 영화계의 주목받는 감독으로 떠오른 유위강은 <무간도> 1편 마지막에 섬광 같은 정치적 자각을 불어넣었다. 유건명(유덕화)이 선인으로 태어나기를 결심하고 신원회복을 시도하는 진영인(양조위)의 부름에 응할 때다. 구름이 뒤에 깔린 그 유명한 옥상장면 말이다. 진영인이 유건명이 새롭게 변하고 싶다는 말을 믿지 않자, 그는 전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지만 지금은 다르다고 항변한다. 유건명의 부인할 수 없는 도플갱어인 진영인은 이 진술의 의미를 즉각적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지하세계에 신물난 그는 판사 앞에 가서 진술하라고 제시한다. 유건명의 ‘선택’은 이루어지지 않고 진영인이 살해된 뒤 그는 무간지옥, 유예의 상태에서 살아가야 한다. 하지만 전엔 선택할 수 없었지만(홍콩 반환 이전), 이제는 선택할 수는 있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암시는 영화가 무간지옥에 대한 설명으로 끝나기는 하지만 <디파티드>처럼 완벽한 정치적 파국 상황은 아니라는 점을 예시한다. 무간지옥은 유예이나 ‘디파티드’는 죽음이다. <디파티드>로 돌아오자면, 경찰사관학교에서 바로 갱들의 세계로 투입된 코스티건은 공포에 질린 상태로 살아간다. 경찰의 신분을 유예당한 그에게 허용된 공적 사회와의 접촉은 바로 마돌린과의 만남과 퀴넨과의 전화 통화 및 접촉이다. 코스티건과 마돌린은 처음엔 불화한다. 코스티건이 신경안정제를 처방해달라는 자신을 이해 못한다며 소리소리 지르고 나서야 마돌린은 그를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그런 마돌린에게 코스티건은 혹시 부모가 알코올 중독이 아니었느냐고 질문한다. 마돌린은 놀란 표정을 짓고, 이를 부정하지 않는다. 코스티건은 연인 설리반보다 마돌린의 심리적 향방을 잘 읽어낸다. 그러나 마돌린이 심각하게 사랑에 빠진 상대는 설리반이다. 설리반은 그녀와 함께 살게 된 이후에도 경찰이면서 갱의 쥐(스파이)인 자신의 정체를 털어놓지 않는다. 또 그는 마돌린의 어릴 때 사진을 보이지 않는 곳에 치우라고 하면서 그녀의 유년 시절을 부정하는 듯이 보인다. 사실 마돌린과 설리반이 왜 사랑에 빠지는가는 이 영화의 미스터리 중 하나다.

정치도 공공 영역도 그에 대한 재현도 아포리아에 빠진 이 영화에서 마돌린은, 사실 <무간도>에서 세명의 여자가 했던 역할을 모두 하고 있다. <무간도>에서 진영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을 기르는 여자, 유건명의 여자친구인 메리(정수문) 그리고 경찰·범죄자 심리상담가인 이심아(진혜림). 이 세명의 여자가 마돌린 한 사람에 매달려 있는 것이다. <디파티드>는 여자가 여럿 나오는 것을 못 견디겠다는 듯이, 마돌린에게 세명의 여자를 몰아넣고 영화 내내 부재하는 공공의 가치를 그녀에게 잠깐 부여하나 그녀를 특별히 글래머로 묘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녀는 창백하고 부서질 듯하다. 심리상담을 하면서도 설리반과 코스티건의 심리를 읽으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영화가 진행되면서 그녀도 정치적 아포리아의 대열에 합류하는데, 영화에서의 놀라운 생략은 그녀의 임신 사실이 초음파로 밝혀진 이후, 코스티건이 죽자 그 장례식에 참석한 마돌린은 설리반과 결합할 뜻이 없음을 표현하는데, 이후 그녀의 선택에 대해 어떤 암시도 없다. 말하자면 이 영화에는 <무간도>와 달리 선택이 없고, 또 선택은 앎의 대상이 아니다. 마돌린도 설리반도 코스티건도 영화에서 그 자리에 놓일 뿐, 선택하지도 선택을 원하지도 않는다. <무간도>가 살아남은 자의 지옥으로 1편을 종결하고 있다면, <디파티드>에서 설리반이나 코스티건과 얽혀 있는 사람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자는 마돌린인데 그녀가 영화의 마지막에 등장하지 않음으로써 그 누구의 무간도도 아닌 것이 되고 만다. 모두가 떠났다고(“디파티드”) 말하나, 난 사실 이 영화가 마돌린에 대해 끝부분에서 말하는 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자들만의 영화에서 꼭 그런 것을 요구해야 하냐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으나, 위에서 분석했다시피 마돌린에게 지워진 재현의 무게는 양으로만 보아도 <무간도>의 세배이다.

여하간에 이렇게 됨으로써 계급, 인종은 말할 것도 없이 젠더에 대한 정치적 문제제기의 완벽한 폐색이 영화 안에 만들어지고, 그러고 보니 여기에 그려진 미국은 무간지옥이 아닌 생지옥이다. 디파티드. 즉, 타계. 죽음. 지나간 것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