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의 모래가 꼬물꼬물 움직이는가 싶더니, 사람의 얼굴에 팔이 달린 형상의 캐릭터가 튀어나온다. 모래를 조몰락거리며 뱀, 불가사리 등등을 빚어내는 주인공. 익살맞은 캐릭터들이 생명을 얻고 함께 모래성을 쌓는 아기자기한 움직임에, 그 대부분이 모래로 지은 세상임을 깜박 잊을 지경이다. 1978년 아카데미 단편애니메이션상을 차지한 <모래성>(1977)의 감독 코 회드먼은 인형애니메이션의 상상력의 지평을 넓혀온 대표적인 작가. 네덜란드 출신으로, 캐나다로 이주한 60년대 중반부터 예술과 실험애니메이션의 산실로 이름난 캐나다국립영화위원회(NFBC)의 일원으로 활동해왔다. 눈 속에서 발견한 인형을 소중히 돌보는 꼬마 곰 루도빅을 그린 <루도빅-눈 선물>(1998)의 익숙한 봉제인형에서부터 종이, 모래, 나무 등 일상적인 재료로 빚어낸 다양한 형상들까지, 회드먼의 손길에서 생생한 숨결을 얻은 애니메이션의 소우주는 다채롭기 그지없다. 회드먼은 지난 11월8일 폐막한 제8회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PISAF)의 심사위원을 맡아 96년 SICAF 방문 이후 두 번째로 내한했다. PISAF에서,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이 CGV부천에 마련한 자리에서 두 차례 강연을 갖고 ‘인형극의 마술’을 수줍게 얘기하던 인형 세상의 조물주와의 일담.
당신에게 인형극의 마술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디자인, 꼴, 형태에 대한 매혹이랄까. 인형극의 표현방식은 정말 다양하다. 돌 하나, 접은 종이, 뭐든 인형으로 개발할 수 있으니까. 또 인형극도 결국 스토리텔링에 관한 것이라 자신을 표현할 수 있어 매력적이다. 디지털 작업이 대세인 요즘, 한 프레임씩 인형을 움직이며 찍는 전통적인 작업을 고집할 수 있는 원동력은. 그게 내가 배운 것이고, 내가 아는 것이니까. 컴퓨터애니메이션도 배웠지만, 나한테 중요한 건 역시 어떤 실체의 촉감이었다. 창을 여러 개 열고 마우스를 누르는, 촉감이 부재한 컴퓨터 작업엔 좀 좌절했다. (웃음) 스튜디오에서 실체와 접촉하는, 인형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감정을 나누는 과정이 필요하달까. 유년과 동심의 세계를 세심하게 담아낸 작품들이 많은데. 내 유년기를 돌아보게 하니까. 아이처럼 생각하는 걸 좋아한다.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움직이는지, 어떻게 성장해가는지, 늘 흥미진진하다. 최근 40년 가까이 몸담았던 NFBC를 나왔다고 들었다. 작가들을 직원처럼 고용해 급여를 주면서 지원하던 NFBC의 정책이 예산문제 때문에 프로젝트별로 작가를 지원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아직도 NFBC의 작업 공간을 활용하지만, 전처럼 소속된 건 아니다. NFBC에서 독립한 지금, 앞으로의 계획은. 내 첫 장편이 될 <Quest for Winter>(가제)를 진행 중이다. 지구 온난화와 남극의 위기를 다루는데, 눈과 얼음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아마존의 동물들이 떠돌이새를 통해 남극을 알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루도빅>의 TV시리즈도 추진 중이고, 아주 흥미진진한 시기랄까. 아내와 딸, 두 손자와 손녀를 부양하려면 열심히 일해야지. (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