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난 감독들 [5]
문석 이다혜 2006-10-30
인도 오지 마을에서 열리는 소박하지만 넉넉한 영화축제

아시아영화의 창 상영작 <아주 특별한 축제>

여기 한 영화감독이 있다. ‘영화는 창작자의 고통이 담긴 예술’이라고 굳게 믿는 그는 아직 자신의 영화를 대중 앞에 선보일 기회조차 얻지 못한 채 고향 마을에 머물고 있다. 그의 딱한 사정을 가엾게 여긴 친구는 “이곳에서 국제영화제를 열어 네 영화를 상영하자”고 제안한다. <아주 특별한 축제>는 보이는 건 사막과 산뿐인 인도의 오지 마을에서 영화제를 열면서 벌어지는 어처구니없고 황당한 사건들을 소박한 풍경과 넉넉한 웃음으로 보여주는 영화다.

이 영화에서 감독인 미스는 후원자인 콜라회사 사장(그는 동성애자다)에게 말 그대로 몸을 바쳐가며 영화제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한다. 하지만 미스처럼 후원자를 찾을 수 없었던 <아주 특별한 축제>의 감독 비주 비스나와스는 제작비를 스스로 벌어야 했다. 그는 2001년 이 영화를 기획했지만, 발리우드 뮤지컬도 아니고 스타도 출연하지 않는 탓에 투자자를 구할 수 없었다. 결국 그는 무려 5년 동안 6편의 발리우드 뮤지컬영화에서 촬영감독으로 일하며 제작비를 만들었고 마침내 이 영화를 만들어냈다. 오지에서 영화를 찍는 일 또한 그곳에서 영화제를 여는 것만큼이나 힘든 일이었다. “우리는 밤장면을 제외하고는 인공적인 조명을 사용할 수 없었다. 전기공급이 잘되지 않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내가 이 영화를 통해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 중 하나는 인도의 도시와 지방이 완전히 다른 세계처럼 분리돼 있고, 그 격차는 점점 벌어진다는 것이다.”

연속되는 어이없는 소동 끝에 영화제는 열리게 된다. 하지만 시골의 노인네들은 미스가 예술이라고 주장했던 영화에 관심을 쏟는 대신, 콜라 광고에만 열광을 보낸다. 결국 그는 자신의 필름을 사막에 내버리고 좌절한다. 그리고 영화의 말미에 자막이 흐른다. ‘그는 호러영화 감독이 돼 성공을 거둡니다’라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옳지 않아 보이는 삶의 어떤 순간이 있다. 그럴 때는 처음 꿨던 꿈을 다시 생각하면서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물론 그건 매우 고통스럽다. 오로지 강한 사람만이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이 영화 속 감독은 자신이 멍청한 영화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호러영화 감독이 된다.”

이 영화 속에서 가장 재미있는 인물은 영화제 큐레이터로 초청된 한 영감님이다. 그는 친구인 찰리 채플린, 구로사와 아키라, 샤트야지트 레이처럼 이미 세상에 없는 감독들을 영화제에 초청했다고 큰소리치는 인물이다. 혹시 그는 영화평론가를 비꼬려는 것이었을까. “나는 모든 비평은 건설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건 최악의 영화다’라고 말하면 이후 어떤 발전도 있을 수 없다. 어떻게 나아질 수 있는지 가이드를 제공하는 평론이 돼야 한다.” 영화 속 마을에 사는 사람처럼 순수한 미소를 머금고 있던 그가 처음으로 굳은 얼굴을 보여주고 있었다.

“세계 어느 감독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아주 특별한 축제>의 비주 비스나와스 감독

- 이 영화는 부산영화제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됐다. = 부산은 나와 깊은 인연이 있다. 단편영화 <여정>은 1999년 와이드앵글 부문에서 상영됐고, 장편 데뷔작 <데자뷔>는 2001년 새로운 물결 부문으로 소개됐다. 5년 만에 다시 찾아왔는데, 첫 상영 뒤 관객과 1시간이나 진지한 대화를 나눴다. 그동안 영화제가 더 성장했음을 알 수 있었다.

- 인도 관객만이 느낄 수 있는 사회 풍자도 담겨 있는 것 같다. = 인도의 오래된 작은 마을에서는 극장이 없어지고, 큰 마을에서는 결혼식장으로 업종전환하고 있다. 또 영화평론가 에피소드에서 드러나지만 교육은 여전히 큰 문제다. 고향인 케랄라의 경우 주민 100%가 글을 읽을 줄 알지만 어떤 지방은 정말 문맹자가 많다.

- 어떤 지방에서 촬영했나. = 라자스탄주의 자이푸르라는 곳이다. 타르 사막이 있는 파키스탄과의 국경 부근이다. 그러나 나는 영화 속에서 배경을 정확히 밝히지 않고, ‘인도의 어딘가’라고만 자막을 넣었다. 왜냐하면 이런 일은 세계 어느 곳의 어느 감독에게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 다음 영화는. = 이제부터 시나리오를 쓰려고 하는데, 좀더 큰 영화를 만들어보고 싶다. 그 영화를 들고 부산에 다시 오고 싶다.

- 촬영을 배우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촬영감독으로 활동했나. = 누구나 무엇이든 정말로 하고자 한다면 잘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내겐 촬영이 그랬다.

해외 통일운동가에 대한 진심어린 눈물과 회한

와이드 앵글 한국 다큐멘터리 상영작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

최현정 감독은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를 찍으면서 많이 배웠다고 말한다. 촬영기술이나 편집기법의 문제가 아니다. 질문을 던지는 방법, 대상에 접근하는 방법, 그리고 아집을 부리는 대신 다시 생각하기 시작하는 법을 배웠다.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는 프랑스에서 화가로 살아가다가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41년간 남한 입국을 할 수 없었던 프랑스의 통일운동가 이희세씨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동시에 감독 자신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의 초반에 등장하는 감독의 사진들과 내레이션, 그리고 어렸을 적 반공웅변대회에 나갔던 동영상은 처음부터 이 영화가 이희세 한 사람만의 이야기가 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 다큐멘터리는 주인공 이희세와 감독 최현정 두 사람에 관한 이야기인 동시에 하나의 조국에서 태어나 통일운동을 하는 세대와 분단조국에 태어나 두개의 한국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세대에 관한 이야기다. 그래서 이 다큐멘터리에는 “왜?”라는 질문이 자주 등장한다. 흥미로운 것은 최현정 감독의 질문과 생각의 변화 과정이 영화를 보는 젊은 세대의 리듬과 절묘하게 맞아떨어진다는 데 있다.

<평범하기>(2002)로 인디다큐페스티발 올해의 다큐상을 수상했던 최현정 감독은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98학번으로, 얼마 전 프랑스 파리 1대학에서 다큐멘터리 실기 석사과정을 마쳤다. 중앙대 재학 시절에 데모에 열심이었지만 언젠가부터 “왜 통일을 해야 하지?” 하는 질문을 갖게 되었지만 딱히 답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레드 콤플렉스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겠다고 생각한 게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의 출발점이었다. 그리고 사실,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 전에 이희세씨를 주인공으로 한 또 한편의 단편 다큐멘터리가 있었다. 절대 남한에 돌아가지 않겠다고 하던 시절의 이희세씨를 담은 단편을 찍은 뒤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선생님이 원하시는 주제와 내가 생각하는 주제가 다르다는 걸 알게 되었다. 내가 하고 싶은 걸 놓고 싶지는 않은데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걸 안할 수는 없어서 절충했다가, 내가 원하는 걸로 갔다가, 선생님이 원하시는 걸로 갔다가 하며 고민하다가 마지막 두달 동안 싹 고친 게 이 영화다. 내가 나를 바라보고 내가 선생님을 통해서 느낀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는 자신과 대척점에 서 있는 사람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찍을 때, 대상을 왜곡하지 않고도 자신의 주관을 꺾지 않는 방식의 다큐멘터리가 되었다. 이 영화가 오랜 시간 모국 땅을 밟지 못하고 살아온 해외 통일운동가에 대한, 눈물과 회한으로 가득한 TV다큐멘터리가 전해주지 못하는 진심과 자각을 맛볼 수 있게 해주는 이유는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문제를 고민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그렇게, 영화가 끝나고 다시 시작된다.

“극 초반엔 생각없는 티를 내고 싶었다”

<코리안 돈키호테, 이희세>의 최현정 감독

-영화 초반에 감독이 이희세씨에게 다소 경솔하게 질문하는 대목이 나온다. 영화의 뒷부분을 보면 그런 대목을 빼고 싶었을 것 같은데. =초반에 생각없는 걸 티를 낸 거다. “북한이 붕괴할 거라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당장 굶어죽고 있잖아요.” 이런 이야기. 숨기고 싶기도 했지만 정말 넣고 싶었다. 그래서 나중에 선생님과 토론할 때는 ‘왜’라는 질문을 많이 생각하고 갔다.

-북에 입국 신청까지는 한 건가. =결국 신청도 못한 셈이 됐다. 북한에 홍수가 나면서 8·15 축전을 취소했기 때문이다. 나는 남한 국적이라 북한에 입국하려면 남한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기에 한국에 돌아와 있었는데 결국 비행기표값만 날린 셈이 되어버렸다. 덕분에 제작비가 초과되었다.

-제작비는 얼마나 들었나. =지난해 부산영화제에서 AND 펀드를 받고 영화진흥위원에서 지원금을 받았다. 모두 합해 1500만원 정도 지원받았고, 이희세 선생님이 한국에 입국하셨을 때 같이 와서 찍고, 북한 입국 문제로 들어왔다가 허탕치고 하면서 전체로는 2200만원 정도 든 것 같다.

-다음 이야기로 구상하는 것은. 그리고 프랑스에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의 반응은 어땠나. =일단 박사과정에서는 공부를 할 생각이다. 프랑스 친구들에게 가편집본을 보여주곤 했는데 엉뚱한 곳에서 웃는 바람에 왜 웃냐고 물어본 적도 있다. 부산에서 한국 사람들에게 처음 보여준 건데, 내가 웃는 부분에서 같이 웃는 걸 보고 ‘내가 한국 사람이기는 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 (웃음)

관련영화

관련인물

사진 씨네21 PIFF 데일리 사진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