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스포트라이트
푼수 엄마, 낯선 모성을 완성하다, <가족의 탄생>의 김혜옥

언제부터인가 텔레비전 드라마에 좀 이상한 엄마가 나오기 시작했다. 자식과 남편을 위해 무작정 침묵하고 희생하는 헌신의 어머니상은 분명 아니었다. 자식에게 도리어 투정부리는 혹은 남편의 사랑보다 자기의 애증을 더 소중하게 품고 있는 듯 보이는 그런 엄마. 그때마다 김혜옥이 그 역할을 했다. 아니, 김혜옥이 그런 역할들을 각인시켰다. 조심스럽게 그 인상에 대해 묻자 의외로 명쾌하게 대답이 돌아온다. “그렇죠, 요즘 내가 맡고 있는 역할들이 대개 그래요. 모자라고, 푼수 같고, 변태 같은 엄마, 호호호.”

처음부터 ‘모자라고, 푼수 같고, 변태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건 아니다. 믿기지는 않지만, “고등학교 때는 일어나서 국어책도 못 읽는” 수줍은 소녀였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로 시작한 연극을 10년 정도 하고, 뒤늦게 텔레비전 드라마에 뛰어들어 활동하다보니 바뀐 점이 많았다. “시트콤 <올드미스 다이어리>를 기점으로”는 완전히 달라졌다. “촬영 나가면 초등학교 애들이 버스 앞에 줄서서 사인해달라고 데모한다니까. 정신 수준이 자기네랑 똑같다고 생각하나봐. 호호호. 그런데 너무 좋아요. 순수해지는 것 같고. 내가 원래는 너무 왕내숭이고, 차가워서 재수없다는 말도 들었다니까요.”

<가족의 탄생>에서도 김혜옥은 여지없이 엄마 역할을 맡았다. 처음에는 고두심이 맡은 첫 번째 에피소드의 ‘무신’ 역할이 더 하고 싶었다. 하지만 선배 고두심이 오히려 자신이 맡은 엄마 역할을 탐냈다는 후문을 듣고는 이내 “내 거나 잘해야지” 마음을 돌려 세웠다. 영화 속 그 엄마는 텔레비전에서 보던 그냥 푼수가 아니라, 아프고 서글퍼도 울지 않는 낯선 모성에 가까워졌다. 병으로 죽어가지만 딸에게는 결코 말로 그 슬픔을 전하지 않는 사람이다. 영화 속에서 엄마는 한번도 자식을 품에 안아 울지 않고, 자기의 죽음 앞에서도 서러워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딸을 사랑하는 티는 역력하다. 그 캐릭터의 마음을 알기 때문에 김혜옥은 카메라가 꺼진 자리에서만 많이 울었다.

“영화 속에 들어가는 영정 사진을 찍는 날에도 그랬어요. 나중에는 우리 딸로 나온 공효진 얼굴만 봐도 눈물이 막 뚝뚝 떨어지는 거예요.” 그 말을 하면서도 눈물이 비쳤다. 사랑하는 가족을 갑작스럽게 잃었던 실제 경험의 이야기도 그 순간 잠시 내비쳤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내가 울면 안 되잖아요. 우는 것보다는 그걸 참는 게 더 슬픈 거거든요.” 그러고보니 <가족의 탄생>의 에피소드 중 슬픈 건 두 번째다. 창문을 보며 무심하게 던지는 김혜옥의 대사. “올해는 눈이 많이 오려나. 난 눈이 좋은데….” 그 아련함을 표현할 때도 엄마 김혜옥은 눈물을 참았던 것 같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