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크라잉 너트 | <이소룡을 찾아랏!> 강론 감독 인터뷰
2001-06-01

“영화를 찍으면서 팬이 됐다”

강론(34) 감독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유목민 기질을 가진 종합 예술인’쯤 될 것이다. 사춘기 시절 해외지사에 근무하던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해외 출입을 밥먹듯 하던 소년은 어느덧 성인이 돼 프랑스로 향했다. 그는 이곳에서 연기나 극작을 공부했다. 하지만 프랑스는 그에게 다른 유럽국가로

통하는 관문이라는 의미가 더욱 컸다. 결국 공부보다 그에게 더 크게 남은 것은 이탈리아, 스페인 등을 두루두루 돌면서 쌓은 감성의 두께였다.

97년 서울로 돌아온 그는 그동안 다양한 곳에서 만난 예술가들과 함께 ‘몽골몽골’(mONGOL mONGOL)이라는 다국적 종합예술집단을 결성해

등의 작품을 만들었고 호주 애들레이드 페스티벌 프린지 부문에 참가하기도 했다. 99년에는

박광수 감독의 <이재수의 난> 연출부로 참가했고, 그 계기로 크라잉 너트를 만나게 돼 <이소룡을 찾아랏!>을 연출했다.

크라잉 너트와 영화를 제작하게 된 이유는.

나는 평소 다양한 아이디어를 메모하고 있다. 그러다가 적합한 예술가를 만나면 그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프로젝트를 만들어낸다. 몽골몽골에서 그런

식으로 작업했다. 지난해 나는 ‘서울에 관한 신기한 이야기’라는 주제로 3부작을 구상하고 있었는데, 크라잉 너트를 만난 순간 이중 한 이야기를

끌고 나갈 예술가라는 사실을 직감할 수 있었다.

크라잉 너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건강하고 예쁜 친구들이다. 이젠 팬이 됐다. 처음엔 함께 작업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함께 고생하면서 서로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이소룡은 도대체 어떤 의미인가.

그는 어릴 적부터 나의 아이콘이었다. 또 그는 동양인의 모습을 띤 미국인이고 홍콩에서 자라 할리우드에서 주로 활동한 인물이기도 하다. 이소룡이라는

존재는 여러 가지의 맛, 다양한 스펙트럼을 한몸에 가지고 있는 일종의 상징이라고 생각했고 서울이라는 공간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영화 중간에는 흑백 스틸사진으로 구성된 인상적인 시퀀스가 있다.

전문작가가 120여컷을 찍어 일일이 핸드프린팅 했다. 이를 통해선 정지동작과 연결동작의 본질을 파악하고 싶었다. 또 사람의 손때를 묻히는 작업을

하고 싶었던 점도 있다.문석 기자

▶ 크라잉

너트의 스크린 소동

▶ 디지털영화

<이소룡을 찾아랏!>으로 배우의 길에 서다

▶ <이소룡을

찾아랏!> 강론 감독 인터뷰

▶ 영화

<이소룡을 찾아랏!>

▶ 크라잉

너트 자기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