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로드무비>를 보는 김인식,서동진의 두 시선(3)
2002-10-18

편견에 침을 뱉어라!

김인식

일단 저는 노동현장이 동성애 남성간의 유대공간이라는 인식은 하진 않았었고요. 실제로 제가 표현하려는 것은 권력관계였죠. 동성애자인 것을 앎에도 불구하고 석원이 대식을 따라다니는. 대식의 손에서 벗어나면 생존경쟁에서 죽어버리고 말기 때문에, 그것 때문에 끌려다니는 그런 권력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노동현장을 좀 많이 넣었던 거죠.

서동진

<로드무비>는 말 그대로 로드무비이기도 합니다. 흔히 로드무비라 할 때, 길은 주인공의 내면을 은유하곤 합니다. 배회하거나 방랑하는 자의 내면과 공간, 즉 길이 일치된다는 것이죠. 그런데 이 영화 속에서 길은 내면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했어요. 이 영화 속의 길은 가끔 멈춰서거든요. 가끔 멈춰서 어마어마하게 숭고한 자연을 보여준다거나 하잖아요.

김인식

이건 우답일 수도 있는데, 길을 항상 움직이면서 보여줄 수는 없는 거잖아요. 저는 <로드무비>에서 길이라는 존재가 내면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생각을 해요. 석원이 대식을 떠나보내는 장면이 지나가면 길이 중첩되고 있어요. 그리고 그 몽타주가 거의 끝났을 때 대식이 차 안에서 황량한 표정으로 앉아 있는 게 보여지죠. 저는 그게 대식의 시야라고 생각을 해요. 내가 표현하고 싶었던 길이라는 것은 캐릭터 내면의 감정상태예요.

서동진

이제 슬슬 정리를 해야겠군요. 저는 <로드무비>가 동성애적 사랑에 관한 영화였다기보다는, 우리 사회에서의 동성 유대관계에 대한 영화로 볼 수 있으리라 말했는데, 위험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동성애는 동성 유대를 깨는 위협적인 존재로 그려지는데, 이것이 결과적으로 우리 사회에 숨어 있는 남성중심주의라 할 만한 것들에 대한 일종의 보수적 예찬으로 비쳐질 수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아까 소통을 말씀하셨는데,건널 수 없는 차이가 있는 두 이질적 존재간의 소통의 문제를 다루겠다고 시작한 영화가 결국 동성 유대적 남성들 사이에서의 소통의 불가능, 독백적 소통을 보여주고 만 것 같다는 거죠.

김인식

음…. 그런 지적은 무척 신선하게 느껴지네요. 미처 생각을 못했는데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무튼 동진씨나 관객이나 이렇게 봐줬으면 좋겠네요. 이 영화는 이런저런 문제에 대해 섣불리 답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그 현상 자체를 보여주는 거라고.

서동진

그런 의미에서 <로드무비>는 중요한 진술을 하는 희귀한 동성애영화라고 볼 수 있는 거죠. 만약 이 영화가 동성애자와 이성애자라는 두개의 인격적인 주체에 대한 태도의 문제나 두 주체를 갈라놓는 편견과 인습, 가치를 둘러싼 차이를 이야기했다면, 그냥 막연한 흔해빠진 동성애영화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았던 것 같아요. 그런데 이 영화는 특이하게도 이 두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저변의 무의식적 유대로서의 남성간 관계를 보여주고 있어요. 관객도 그런 점을 유의 주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도발5 - 엔딩, 섹스가 아니라 키스다

김인식

감사합니다. 저도 마지막으로 우려삼아 말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요,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관한 것입니다. 대식과 석원이 소금창고에서 알몸으로 키스하고 끌어안는 그 장면에서 둘이 섹스를 했다고 보지 말아달라는 겁니다. 저는 실제로 섹스를 보여주지 않았는데, 많은 분들은 실제로 두 캐릭터가 섹스를 했다고 보시더라고요. 전 소통이라는 것도 찰나적이라고 생각해요. 석원이라는 사람이 대식을 이해하게 됐는데 대식은 죽어가고 있어요. 석원이 줄 것이라곤 아무것도 없는 맨몸뿐이죠. 그러니까 석원은 마음을 준 거예요. 결국 그 상황 자체는 어떤 의식(儀式)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이제 석원이 쟤는 남자 맛을 알고 게이가 됐을 거야(웃음), 이렇게 보신 분들도 있더라구요.

서동진

오히려 저는 이 장면이 흥미로웠어요. 게이 포르노그래피에서 유행하고 있는 일반적인 판타지를 정확하게 재현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었죠. 마초 게이가 성정체성이 다르다는 이유로 자기를 극명하게 거부하는 이성애자 남자를 정복하게 되는 이야기는 게이 포르노에서 가장 흔하게 등장하는 판타지에요. 그런 점에서 보면 이야기 그 자체는 게이들에게 너무 익숙하거든요. ‘쟤 따먹었다’(웃음), 이런 식으로. 저는 그것까지 감독님이 통제하셔선 안 된다는 생각이 들어요.

김인식

아, 이점에 관해서는 이성애 관객에게 말하는 거예요.(웃음)

서동진

저는 이 영화가 우리 사회에서 만들어낼 수 있는 쟁점을 놓고 볼 때, 위험한 슬로건이라 생각되는 게 하나 있어요. ‘우리는 하나다’라는 거예요. 동성애자와 이성애자가 성정체성의 차이를 떠나서, 인간이고 사랑이라는 관계 속에서 소통하는 존재로서 보편적인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위험한 거거든요. 우리는 하나라고 했을 때, 그 ‘하나’는 알고 보면 나의 관점에 당신이 동화되어야 한다는, 폭력으로서의 ‘하나’가 될 수 있어요. 제가 보기에 더 급진적인 것은 ‘우리 둘은 다르다’는 거예요. 그 다름에 눈을 떠야만 둘 사이의 소통 가능성이 있다고 보거든요. 우리 사회에 퍼져 있는 편견 중에 그런 게 있잖습니까. ‘교양있는 중산층의 시민인 나는 성정체성이 다르다는 이유로 동성애자를 혐오해선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그가 나에게 사랑하자고 말하는 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뭐 이런 식의. 과연 그게 하나가 된 거라 할 수 있을까요.

김인식

하지만 서울로 올라간 석원이 만일 다른 동성애자를 만난다면, 그로부터 사랑의 고백을 받는다면, 이젠 좀 달라지지 않을까요. 그런 호모포비아적 시각을 걷어내고 보게 되지 않았을까요. 관객도 석원처럼 이 영화를 통해 타자들에 대한 이해가 훨씬 넓어졌으면 하는 바람이거든요.

정리 문석 ssoony@hani.co.kr/사진 정진환 jungj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