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경계를 넘나드는 카메라의 힘. 다큐에서 뿐만 아니라 극영화에서도 빛을 발한다.
“현실에서는 넘을 수 없는 경계를 상상 속에서 넘어가보고싶다.” 재일동포인 양영희 감독은 자신의 가족사를 두 편의다큐멘터리 <디어 평양>과 <굿바이 평양>에 풀어놓았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간부인 아버지와 재일조선인 귀국사업으로 북한에 건너간 오빠들의 이야기는 다시 극영화로 재탄생한다. 양영희 감독의 첫 번째 극영화 <가족의 나라>는 북한으로 이주한 뒤 25년 만에 일본으로 돌아온 성호와 여동생 리에를 이야기의 중심에 놓는다. 뇌종양 치료를 목적으로 한 방문이라 성호의 일본 체류기간은 3개월로 제한되어 있다. 재회의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지만 25년이란 세월은 어쩔 수 없이 성호와 리에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을 세운다. 게다가 북한의 감시원은 일거수일투족 성호의 일상을 감시한다. 양영희 감독은 “여동생은 나 자신이 모델이며, 오빠는 나의 오빠들을 합친 듯한 캐릭터”라고 영화 속 인물들을 소개한 적 있다. 이번에도 양영희 감독 자신의 경험이 영화에 중요하게 작동했다는 얘기다. 극영화이기 때문에 가능한 지점들도 생겼다. 리에가 북한 감시원에게 자신의 성난 마음을 표출하는 장면을 보자. 스스로 북한의 “사상의 적”이라 말하는 리에가 얘기한다. “나는 당신네 나라가 싫습니다”라고. “질문은 없고 복종만 있는” 삶을 사는 감시원은 답한다. “그 나라에서 당신의 오빠와 내가 죽을때까지 살아야 합니다.” 직설적 화법으로 인물과 인물, 사상과 사상의 대립을 부각시키는 건 극영화이기 때문에 가능한 연출이다. 배우들의 연기도 극으로의 몰입을 돕는다. <원더풀 라이프> <공기인형>의 배우 아라타는 성호의 복잡한 내면을 보일 듯 말듯 표현해내는데 그 연기가 일품이다. <러브 익스포져>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의 안도 사쿠라도 특유의 자유로운 감성으로 리에를 입체적인 인물로 그려낸다. <똥파리>의 양익준 감독도 북한 감시원 역을 맡아 제 몫을 다한다. <가족의 나라>는 여러모로 다큐멘터리스트가 아닌 영화감독 양영희를 발견하게 해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