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영화제가 열리는 기간이면 남포동 PIFF 광장을 메우곤 하던 인파를 올해는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부산영화제 주요 상영관 중의 하나였던 남포동 부산극장이 상영관에서 빠지고 해운대에서 가까운 장산 CGV가 그 자리를 대신하면서 영화제의 무게 중심이 해운대로 옮겨왔기 때문이다. 올해 남포동에 있는 상영관은 대영극장 한군데. 부산영화제 측은 “상영관이 작아서 티켓이 빨리 매진되는 현상은 부산영화제로서도 부담스럽다. 부산극장 1관은 1천석 규모의 상영관이어서 대중적인 영화를 상영하는데 적합했지만 임대료를 비롯한 여러가지 사정 때문에 부득이하게 부산극장을 포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남포동 PIFF 광장에서 열리던 야외무대 행사도 해운대와 분산되어 열리게 됐다. 감독과 배우들이 무대인사를 하는 남포동 야외무대는 강동원과 쓰마부키 사토시 등의 스타들이 눈에 띄게 많이 방문했던 2005년에 특히 많은 인파가 몰려 위험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좁은 공간에 사진과 방송카메라 기자를 위한 임시구조물까지 설치되었기 때문에 더욱 위험했던 것. 올해 부산영화제는 해운대 해변에 컨테이너로 건축한 PIFF 파빌리온에 야외무대를 연결하여 영화인과 관객의 안전을 함께 고려하는 진행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거의 모든 게스트 숙소가 해운대에 있기 때문에, 체류기간이 짧은 한국 배우들은 동선을 고려한다면, 해운대를 더 많이 찾게 될 것이다. 남포동과 해운대 야외무대 행사의 비율은 2:3 정도. 해운대 PIFF 파빌리온은 야외무대 외에도 게스트 라운지와 PIFF 센터, 관객 카페 등이 들어서 영화 상영을 제외한 부산영화제 행사의 중심으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관객과 부산 시민들은 10년 가까이 부산영화제의 중심지 노릇을 해왔던 남포동을 향한 향수를 하루아침에 버리기 힘들 것이다. 그러나 1시간 정도 걸리는 해운대와 남포동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는 빽빽하게 스케줄을 짜는 영화제 관객들에겐 심리적으로도 매우 먼 거리로 느껴지게 될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