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BIFF Daily > 10회(2005) > 영화제소식
제8회 PPP 역대 최대규모, 극장 마켓 스크리닝, LJ필름 어워드 신설(+영문)
김현정(객원기자) 2005-10-10

세계의 비즈니스 장으로 전진한다

<달은 다시 떠오른다>

9일 여덟번째 개막식을 가진 부산프로모션플랜(이하 PPP)은 부산국제영화제와 함께 위용을 높여가고 있다. 아시아 최대의 영화 프리마켓으로 자리잡은 PPP는 다양한 색채를 가진 영화들의 탄생지로 자리잡았고, 마켓과 인더스트리 스크리닝 규모를 확장하면서 이미 완성된 한국과 아시아 영화들이 해외 바이어를 만날 수 있는 길목 노릇도 겸하게 됐다. 12일까지 진행되는 올해 PPP는 특별한 의미도 가지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가 내년부터 필름마켓을 열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강성규 PPP 수석운영위원은 “성황을 이루는 홍콩 필름마트가 홍콩영화제와 일정을 맞추면서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지만, 부산국제영화제는 아시아 최대의 영화제이기 때문에, 그 시너지를 따라오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낙관적인 예측을 전했다.

역대 최대 규모인 27편의 프로젝트를 선정한 올해 PPP는 젊은 재능의 진출과 건재한 중견감독의 역량이 돋보인다. 첫 번째 장편 <천상의 소녀>(부산국제영화제 상영제목 <오사마>)로 2004년 골든글러브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한 아프가니스탄의 세디그 바르막은 전쟁의 부조리를 증언하는 <아편전쟁>으로 또 한번 PPP를 찾아온다.(<오사마> 또한 PPP의 프로젝트였다). <귀여워>로 주목을 받은 김수현 감독의 <프리즌 호텔(가제)>, <질투는 나의 힘>의 박찬옥 감독이 만드는 신작 <파주>, 인도네시아 영화의 새로운 세대인 리리 리자의 <영원으로의 3일>, <벌이 날다>의 공동감독 잠셋 우즈마노프 등이 PPP에 신선한 기운을 더할 것이다. 중견 감독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이는 <아름다운 시절> 이후 7년 만에 신작 프로젝트를 계획한 이광모 감독이다. 과거와 현재를 잇는 신비한 영화 <나무 그림 동화>는 이광모 감독의 데뷔작과는 달리 잔혹한 이미지도 섞여있을 거라고. <메이드인 홍콩>의 프루트 챈, 중국의 조선족 감독으로 한국에서 <당률>이 개봉하기도 한 장률, 올해 부산에 <달은 다시 떠오른다>로 찾아온 대만의 린쳉솅, <철남> <총알 발레>의 감각적인 일본감독 츠카모토 신야 등이 귀환을 알린다. 예테포리 펀드의 지원을 받아 초청된 라오스와 키르키즈스탄, 타지키스탄 등의 변방국가들도 PPP에서 생존의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올해 PPP가 시도하는 작지만 중요한 모험은 파라다이스호텔에 집중되었던 행사를 해운대 신시가지에 위치한 프리머스극장까지 확대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마켓 스크리닝은 호텔방에 DVD 상영시설을 설치하여 대신했지만, 최고의 품질을 선보이고자 하는 영화사들의 바램 때문에 정식극장을 찾게 됐다. 강성규 위원은 “한국 뿐만 아니라 PPP에 참여한 아시아 영화사 대부분이 프리머스에서 마켓 스크리닝을 가진다. 모험일 수도 있겠지만, 공식 마켓을 시작하면 어차피 행사장이 분산되기 마련”이라고 내년에의 조심스러운 전망이 포함된 기대를 밝혔다.

작년보다 게스트가 30% 정도 늘어난 PPP와 함께 ‘뉴디렉터스 인 포커스’(이하 NDIF)도 의미심장한 한 획을 긋게 될 것이다. 한국의 유망감독을 발굴하는 NDIF는 장편 연출 경험이 없는 신인이 투자·제작사를 상대로 직접 자신의 영화를 설명하는 프로그램. 올해 신설된 LJ 어워드는 여섯 편의 NDIF 프로젝트 중에서 한편을 선정해 상금 2000만원을 수여하고 LJ필름이 제작을 보장하는 상이다. LJ필름은 <여자, 정혜> <주홍글씨>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등의 제작사. 다큐멘터리와 단편을 연출했고 영상원 교수이기도 한 김소영 감독의 <불꽃소녀>, 인디포럼 상영작 <Rendez-vous>로 깔끔한 재능을 선보인 박은영 감독의 <4차원 소녀(가제)>, <아버지의 노래를 들었네>로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지선 감독의 <우리사랑 곰곰> 등이 출품됐다.

PPP는 그동안 <릴리 슈슈의 모든 것>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천상의 소녀> 등의 수작을 태동한 산실이 되어왔다. 아직 구체적인 준비에 들어가진 않았지만, 내년 부산국제영화제 필름마켓은 작은 씨앗이 거목으로 자라나는 성장의 고비가 될듯하다. 거기에 힘을 보태는건 한국영화의 산업적이고 예술적인 위상. 강성규 위원은 “어느 마켓이든 영화를 파는 사람을 불러오는건 어렵지 않다. 문제는 바이어다. 그들은 서비스에 상관없이 영화가 좋아야만 움직인다. 한국영화의 산업으로서의 위치가 함께 높아져야만 부산국제영화제 필름마켓도 성공할 수 있다”고 내년의 전망을 정리했다.

Pusan Promotion Plan(PPP), which had its 8th opening ceremony on the 9th, is increasingly elevating its reputation along with PIFF. As the largest film free-market in Asia, PPP is set for the platform to present the films of various colors. Also it will give an opportunity for Korean and Asian films to meet international buyers with its expansion the film market and industry screening. PPP this year that runs through the 12th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PIFF has decided to launch its own film market starting next year. Sung-kyu Kang, the PPP Board Member has shown has shown his expectations of PPP bringing out its synergetic result with the PIFF.

It is notable that the 27 projects of this year’s PPP present both the young energetic talent and the thriving mainstay directors. Afghanistan director Siddiq Barmak who won the Best Foreign-language Film Award with <Osama> at the Golden Globe 2004, has visited PPP again with <Opium War> (<Osama> was also presented as a PPP project>. Soo-hyun Kim, who had caught people’s eyes with <So Cute>, presents <Prison Hotel (working title)> to refresh the atmosphere of PPP along with Chan-ok Park’s <Paju> and the Indonesian new generation director Riri Riza’s <3 Days to Forever>. Especially, it is nice to see the director Kwang-mo Lee again with the <Fairy Tale of a Picture Tree> after the long 7-year rest since <Spring in My Hometown>. Also, Fruit Chan the director of <Made in Hong Kong>, Chinese director Jhang Lu, Taiwanese Lin Cheng-sheng, and Japanese Shinya Tsukamoto have come back with their new films.

PPP this year has made its small but important challenge of expanding the event to the theater Primus. Originally, the event was centered at Paradise Hotel. Market screenings have started to present their films at theaters instead of DVD players set up in hotel rooms due to the film production companies hoping to have their films presented in the best quality. The board member Kang has predicted next year’s situation by saying, “Not only the Korean film production companies participating in PPP, but also most of the Asian film production companies will have their market screening at the Primus. It may be a risk, however, the events will be scattered to different places after the formal market gets started.”

Many gorgeous films such as <All About Lily Chou Chou>, <Woman Is the Future of M an>, and <Osama> were being presented at PPP. Launch of the PIFF’s film market next year, yet not being prepared in detail, will be the starting point to become a promising one. Of course it will be the industrial and artistic fame of Korea that will make this possible. The board member Kang says, “It isn’t hard at all for any market to gather sellers. It is the buyers we are concerned about. They don’t care about good services but only the quality. Elevating the level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s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the future film market at PI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