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의 ‘사수’가 싸이더스HQ 매니지먼트 전 본부장 박성혜 이사였다. 2001년 “한국사회에서 학연, 지연 없이 능력만 있으면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시작한 일이지만 “술을 못하고 대인 관계가 미숙했던” 당시 그에게 배우들을 관리해야 하는 매니저는 생소함 그 자체였다. “시나리오의 무엇을 보고 무엇을 결정해야 할지도 몰랐다. 유독 예민한 배우들과 어떻게 대화를 해야 하는지도 몰랐다.” 현장 매니저로서 처음 맡은 배우는 막 <와이키키 브라더스>를 끝내고 <로드무비> 출연을 앞두고 있던 황정민. 김장균 대표는 사수 박성혜 이사로부터 하나부터 열까지 일을 배웠다. 하루 스케줄을 소화하고 집에 돌아와도 쉴 틈이 없었다. 쌓아둔 시나리오를 읽어야 했다. “누구를 알고, 어떤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느냐도 중요하지만 매니저 일의 기본이자 중요한 임무는 결국 작품 결정이다.” 배우들과 작품에 관한 최소한의 대화를 나누기 위해 그는 사무실에 온 시나리오를 닥치는 대로 읽었고, 어떤 작품인지, 어떤 배우에게 어울리는지를 항상 고민했다. 주경야독이었다. 이 습관 역시 박성혜 이사에게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한다. “박성혜 이사님은 끊임없이 내게 자극을 주셨다. ‘이거 해!’가 아니라 ‘나는 이렇다고 생각하는데 네 생각은 어떠니’ 같은 상대방을 배려하는 대화 방법도 그에게서 배웠다. 때로는 내게 결정권을 주기도 하셨다.” 전부는 아니더라도 자신의 배우가 무엇을 고민하고 있고, 어떤 성향을 가졌는지 매니저가 알고 있어야 하는 것도 이때 안 사실이다. 황정민 이후 그는 김혜수, 임수정 등 여러 소속 배우들을 성실하게 맡았다. 이때 현재 소속 배우인 공유, 공효진을 만났다.
성급한 감이 없진 않지만 김장균 대표의 지금까지 매니지먼트 생활을 세 시기로 분류해보면 첫 번째 시기가 싸이더스HQ, 두 번째가 N.O.A 때다. 현재 하정우, 지진희 등이 소속해 있는 판타지오의 전신인 N.O.A는 당시 40~50명의 배우를 관리하던 대형 매니지먼트사 중 하나였다. 나병준 대표가 경영을, 김장균 대표가 본부장으로 배우들을 관리했다. 김장균 대표는 당시를 이렇게 추억한다. “모든 게 좋았다. 훌륭한 배우들도 많았고. 다만 스스로 아쉬웠던 게 있다. 배우들이 많다보니 그들의 고민을 일일이 들어주기가 힘들더라.” 배우 한명을 관리할 때와 달리 십수명이나 되는 배우의 말에 모두 귀기울이기는 쉽지 않았다. 월급쟁이처럼 쉽게 갈 수 있었겠지만 꼼꼼한 성격의 그가 그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대로 있으면 나중에 후회할 것 같다”고 생각한 김장균 대표는 회사를 나가기로 결심했다. 그 얘기를 들은 공유, 공효진, 정일우가 김 대표를 따라 나와 숲에 합류했다. 그게 지난해 4월이었다. “고마웠다. 줄 수 있는 계약금도 한푼 없는데 배우들이 왜 따라 나온 것 같냐고? 음… 모르겠다. 생각해보면 이 친구들에게 거짓말을 한번도 안 한 것 같다.” 비슷한 시기에 오랫동안 소속사가 없던 류승범도 합류했다. “N.O.A 때 (류)승범이의 에이전트를 한 적 있다. 숲을 차렸다는 소식을 듣고 승범이가 함께하기로 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지만 모든 것을 일일이 결정해야 하는 대표의 자리에 오른 김장균 대표는 “특별히 변한 건 없다”고 한다. 숲은 당분간 5명의 배우만 관리할 계획이다. 대형 매니지먼트사에 있으면서 배우들이 많은 게 결코 효율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양보다 질을 추구한다. 5명은 배우들의 고민을 직접 귀기울일 수 있고, 해결할 수 있는 숫자다. 당분간 5명으로 운영해본 뒤 자리가 잡히면 1~2명 정도 추가 영입할 것이다. 6~7명 선이 가장 적당한 것 같다. 가족처럼 운영하고 싶다.” 몸집을 키우고, 시스템화되어가고 있는 산업 분위기에 역행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김장균 대표는 이렇게 대답한다. “매니저의 본분에 집중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숲은 그걸 충실히 할 것이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잘하는지 잘 안다.” 진정 배우를 아끼고 기본에 충실한 대답이다.
배우들이 말하는 김장균 대표 “자신을 더도 덜도 없이 내놓을 줄 아는 자신감과 정직함 때문에 주저없이 그를 선택했다. 그냥 그를 존중하고 지지하고 믿을 것이다.”(전도연) “적이 많을 수밖에 없는 이 필드에서 그를 싫어하는 사람을 본 적 없다. 매사가 따뜻하고 다정한 사람이지만 안경 너머로 보이는 웃음 띤 매서운 눈빛은 기분파인 나를 종종 긴장하게 한다.”(공효진) “어떤 매니저가 <도가니>를 쉽게 허락하겠는가. 지나치게 상업적인 걸 좇기보다 배우의 감성을 이해하려고 한다. 그게 장점이자 단점인데, 요즘 내가 바쁜 걸 보면 없던 돈 욕심이 생긴 것인지도. 하하.”(공유) “때로는 친형 같고, 때로는 인생의 선배 같다. 덕분에 장균이 형으로부터 많이 배운다.”(정일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