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형사 Duelist

The Duelist

2005 한국 12세이상관람가

액션, 멜로·로맨스 상영시간 : 111분

개봉일 : 2005-09-08 누적관객 : 922,680명

감독 : 이명세

출연 : 하지원(남순) 강동원(슬픈 눈) more

  • 씨네217.17
  • 네티즌6.97

단 한 번의 대결, 단 하나의 사랑...

추적: 반드시 널 잡아낸다!

조정의 어지러움을 틈타 가짜 돈이 유통된다. 좌포청의 노련한 안포교와 물불 안 가리는 의욕적인 신참 남순은 파트너를 이뤄 가짜 돈의 출처를 쫓는다. 범인을 잡기 위한 필사의 노력으로 용의자 병판 대감과 그의 오른팔 슬픈눈을 끊임 없이 추적한다. 점점 남순이 찾으려는 대상은 실체를 드러내는데...

사랑: 당신... 진짜 이름이 뭔가요?

남순과 슬픈눈이 마주할 때마다 둘 사이에서는 새로운 감정이 하나, 둘 싹트기 시작한다.
서로를 거부하지만 가슴 깊은 곳에서부터 올라오는 알 수 없는 감정은 막을 수 없다.
처음으로 느껴보는 사랑이란 감정을 갖게 된 남순.
처음으로 누군가에게 선물을 전해주게 된 슬픈눈.

대결: 피할 수 없는 숙명적 대결

그러나 조선 최고의 여형사 남순과 신비로운 자객 슬픈눈은 숙명적인 대결은 피할 수 없다. 역모를 꾀하는 자와 역모를 막으려는 자의 돌이킬 수 없는 대결!
상대를 죽이지 않으면 내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숙명적인 갈등에서 그들의 사랑은 더욱 애절하다.
more

별점주기

0
리뷰 남기기

포토 (49)


전문가 별점 (6명참여)

  • 8
    황진미미장센과 리듬을 떡 주무르듯! '다이나믹 코리아'의 미학 창조
  • 7
    이성욱패션도 언어다. 단명과 장수로 갈려서 그렇지
  • 7
    박평식그림자를 베고 달빛을 자르는 ‘카바레 검술’
  • 7
    김은형경탄 뒤에 남는 허전함
  • 7
    김봉석이야기를 죽이고 이미지를 살렸다
  • 7
    이동진도돌이표의 주술. 그래도 이명세는 세상에서 단 한명뿐
제작 노트
About Movie

<인정 사정 볼 것 없다> 이명세 감독의 스타일이 다른 ‘대결편’

1999년 <인정사정 볼 것 없다> 이후 6년만에 메가폰을 잡은 이명세 감독. 그의 신작<형사 Duelist>는 이명세 감독의 7번째 혹은 첫 번째 작품으로 그간 이명세가 세상에 내놓은 작품들의 총집합이기도 하고 아주 새로운 작품이기도 하다. 자신을 20세기 명감독이 아닌 21세기 신인감독이라 칭하는 이명세 감독은 전작 <인정사정 볼 것 없다>가 ‘추적’의 이야기였다면 <형사 Duelist>는 ‘대결편’이라고 말한다.
영화제목에서 한글과 나란히 표기되어 있는 낯선 단어 Duelist란, 대결 혹은 대결자를 칭한다. <형사 Duelist>가 이명세 감독의 전작의 연장선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영화 속에서 각각의 확실한 컨셉을 지니고 수 차례 벌어지는 대결은 드라마를 이어가는 중요한 언어이다. 숙명적인 대결 속에서 운명적인 사랑이 싹트고 감정의 변화에 따라 대결의 모습은 다르게 표현된다. 감정이 시작되는 대결, 감정이 복받쳐 오르는 원망의 대결, 심판과도 같은 긴장의 대결 등, 영화 <형사 Duelist>는 대결로 사랑을 이야기한다.

선명한 색채의 눈부신 영상이 발산하는 장엄미!
빛과 어둠의 극명한 대조가 이루는 화려함의 극치!!


장면마다 보여지는 풍부한 색감은 <형사 Duelist>를 특별하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다. 전체적인 톤은 블랙과 레드로 강렬함을, 거리마다 흩날리는 다양한 색의 염색천들로 화려함을 선사한다. 백의민족이라는 단어를 원천봉쇄하고 도시의 색감을 살려 새로운 스타일의 사극을 보여준다. ‘퀼트의 시작은 어디일까? 몬드리안의 그림과 같은 아름다움은 동양의 생활 속에 이미 존재했다.’ 라는 발상의 전환으로 <형사 Duelist>의 미학은 시작되었다. 물자가 풍족하지 않은 시절, 구멍이 난 옷은 다른 색의 천을 덧대 입었다면 그 모양이 바로 퀼트인 것이다. 이렇듯 <형사 Duelist>는 그간 우리의 눈에 익숙하게 보여진 사극의 모습을 벗어버렸다. 색채의 조화가 이뤄낸 선명한 영상의 매력이 보는 이의 눈을 사로잡는다.
그리고 조명은 어둠과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해 영상의 스타일을 완성한다. 어둠 속에서 인물은 사라지기도 하고 금새 발 앞에 서 있기도 하다. 또한 보여지지 말아야 할 것은 어둠에 묻힌다. 이처럼 마술과 같은 빛과 어둠을 적절히 활용한 명 장면이 바로 매스게임을 보는 듯 완벽하게 짜여진 전투씬이다. 궁궐과 같은 위엄 있는 공간에서 이뤄진 전투장면은 어둠의 도움을 받아 그 크기를 가늠하기 어려운 거대한 느낌으로 그려졌다. 또한 남순과 슬픈눈의 드라마틱한 대결이 벌어지는 곳, 돌담 길에서 어둠의 공간을 만들 때 가장 큰 공을 세운 것이 바로 조명이다. 어둠을 만들기 위해 빛을 사용한 고도의 기술과 노력. 이것이 <형사 Duelist>의 영상을 특별하게 만든 중요한 요소이다.

99% 세트촬영, 20여개에 달하는 세트, 상상은 현실이 된다!

<형사 Duelist>는 처음부터 로케이션은 생각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사극이라는 장르의 한계 때문에 로케이션 장소로 고궁이나 문화 유적지, 또는 민속마을에 한정하게 되지만 이명세 감독이 그리는 영화는 기존 사극의 이미지는 벗어버린 것이었다. 그래서 <형사 Duelist>는 촬영 99%가 세트에서 이루어 졌고 세트 수만도 20여개에 달한다.
영화 도입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장터세트는 2,000평 규모의 오픈세트로써 도시군상의 모습들을 새롭게 담기에 충분한 공간으로 탄생했다. ‘혼돈 속의 대결(duel in caos)’이라는 테마를 가지고 있는 장터에 화려함 색감과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기 위해 수많은 장치가 더해졌다. 포목점에는 원색에 가까운 색감의 천들이 몬드리안의 그림처럼 걸려있고 꽃가게에는 시대를 알 수 없게 하는 화려한 꽃들이 만개해 있다. 이처럼 장터세트는 당집골목, 약전골목 등 그 시절 있을 법한 공간 속에 다양한 소품들을 채워 새로운 공간으로 만든 것이다. 또한 장터세트와 연결된 홍등가나 계단세트는 각각 독립된 공간으로 혹은 하나의 이어진 큰 세트로 사용해 세트활용의 효율성을 높였다. ‘달빛 속의 대결(duel in the moonlight)’이 펼쳐지는 돌담길 세트는 <형사 Duelist>의 감각적인 영상을 보여준 장소. 어느 여염집이나 궁의 벽으로 역할을 하는 돌담이 아닌 미로와 같은 대결의 장소를 만들기 위한 공간으로써 돌담은 존재한다.
시공간을 넘나들고 장르의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세트를 적극 활용한 <형사 Duelist>는 상상이 현실이 되는 황홀한 영상을 보여준다.

액션영화가 아닌 영화액션으로 한국영화를 다시 만든다!

서로 대결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을 지닌 두 남녀는 리듬과 움직임을 통해 팽팽한 대결을 선보인다. 쌍비단도를 든 형사 남순과 장검을 손에 쥔 자객 슬픈눈, 이 두 인물은 액션부터 극도의 대비를 이룬다. 강하고 동적인 액션의 남순과 우아하고 정적인 액션의 슬픈눈의 대비는 대결의 정점을 높이고 격조 있게 다듬어져 한 단계 진보한 액션을 선사한다. 이것은 흔히 액션영화에서 보여주는 단절되고 거친 액션과는 거리가 멀다. <형사 Duelist>의 액션은 현란함으로 포장된 액션이 아닌 액션으로 감정을 전달하고 액션으로 감정을 고조시키는 것이다.
새로운 액션을 만들기 위해 하지원, 강동원, 안성기는 다양한 동작을 연마해야 했다. 많은 시간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액션 스타일은 선무도의 우아한 동작과 탱고의 격정적인 동작이 더해져 액션의 기본이 마련되었다. 거기에 배우들이 지닌 각각의 움직임에 따라 새로운 동작들이 발전되어 <형사 Duelist>만의 감성적인 액션이 완성됐다. 하루 10시간씩 반년에 걸쳐 배우와 스탭들이 흘린 땀방울은 영상에 고스란히 녹아 한국영화액션의 새로운 도전으로 기억될 것이다.

흰옷과 상투를 던져버린 과감한 스타일의 도전!
전혀 새로운 조선이 눈앞에 펼쳐진다!!


<형사 Duelist>에서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비단 스타일이 살아있는 세트나 화려한 색감, 리듬이 묻어나는 움직임 뿐만이 아니다. 의상, 헤어, 메이크업에 가미된 대담한 디자인 요소들이 기존 사극의 고정관념을 떨쳐버렸다.
보온기능이 특별히 뛰어나지 않은 옷감이라면 여러 겹 겹쳐 입어야 추위를 막을 수 있는 법. 형사의 직업을 가지고 있는 남순은 실외가 활동무대이기에 자연스럽게 요즘 유행하는 레이어드 룩이 탄생될 수 있었으며, 활동성을 강조해야 하는 이유로 동정이나 구김이 많은 기존 한복감은 일찌감치 던져버렸다. 또한 단아하고 우아한 한국적인 미는 <형사 Duelist>에서 멀리하려고 노력한 컨셉이다. 각 캐릭터에 걸 맞는 헤어, 메이크업으로 인물의 특성을 부각시켰다. 이 역시 사극에 대한 통념을 떨쳐버리고 난 후 시작할 수 있었는데, 슬픈눈이 상투나 댕기머리를 하지 않고 남순이 쪽을 지거나 땋은 머리를 하지 않은 새로운 스타일을 소화할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재현이 아닌 창조, 퓨전이 아닌 대안 제시를 통해 <형사 Duelist>는 이제까지 한번도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조선의 모습을 제시한다.

<형사 Duelist>, 미장센을 남기다!

앞서 얘기한 모든 것이 녹아 있는 <형사 Duelist>는 독창적인 미장센을 남기며 스스로 살아 움직인다. 그래서 장면 장면마다 정지되어 있는 것은 없다. 눈이 날리고 비가 내리고 바람에 낙엽이 흩날려 영상미를 완성한다.
새로운 공간, 새로운 스타일을 목청 높여 이야기 한 이유는 바로 그것이 이명세 감독이 추구하는 미장센이기 때문이다. 붉은 색감이 살아있는 단풍잎을 담기 위해 낙엽 100포대가 필요했고 나무 세 그루는 늘 들고 다녔다. 평범하기 그지 없는 공간을 새롭게 변화시키기 위해 스탭들은 일일이 국화와 양귀비를 천 송이 가량 심어야 했으며 한쪽 벽면이 움직이는 세트, 돌담길을 고안해 내었다. 그리고 이명세 감독의 영화스타일을 대변할 수 있는 화려한 장터세트와 계단세트가 만들어 졌다. 세트뿐 아니다. 조명, 의상, 분장, 무술, 음악 등 모든 파트는 하나의 장면을 만들어 내기 위해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다시 태어난다. 이처럼 이명세 감독의 미장센은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눈을 사로잡는 영상, 오랫동안 기억될 새로운 시도.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 이명세표 영화가 만들어 진다.
more

수상내역

  •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촬영상 수상
  •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조명상 수상
  •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시각효과상 후보
  •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미술상 후보
  •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미술상 후보
  •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음향상 후보
  • [제26회 청룡영화상] 미술상 수상
  • [제26회 청룡영화상] 미술상 수상
  • [제26회 청룡영화상] 조명상 수상
  • [제43회 대종상 영화제] 남우조연상 후보
  • [제43회 대종상 영화제] 촬영상 후보
  • [제43회 대종상 영화제] 조명상 후보
  • [제43회 대종상 영화제] 편집상 후보
  • [제43회 대종상 영화제] 미술상 수상
  • [제43회 대종상 영화제] 의상상 후보
  • [제43회 대종상 영화제] 영상기술상 후보
  • [제4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감독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