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날이 나를 기다리고 있는 한 내가 그 칼날을 향해서 나아가리다. 내 앞에는 오직 ‘일사 각오’의 길만이 있을 뿐입니다.
일제 강점기에 신사참배에 반대해 갖은 고문을 당하면서도, 자신의 신앙을 지키며 나라와 민족을 위해 끝까지 저항한 주기철 목사는, 한국기독교의 상징적인 인물인 동시에 가장 대표적인 순교자다. 그가 47세의 젊은 나이에 옥사하며 유일하게 남긴 유산은 일사각오(一死覺悟)라는 네 글자로 대표되고 있다. 오직 믿음으로 거대한 일제 권력에 맞서 싸운 주기철 목사의 신앙과 삶을 생생한 증언과 당시 상황 재연을 통해 감동적으로 소개한다. 진정한 ‘믿음의 본질’은 무엇이며, ‘신념’은 무엇인가?①주기철의 삶_ 식민지 역사를 관통하다
13살 주기철은 한일강제합병으로 ‘나라’를 잃고, 그해 성탄절에 처음으로 교회에 나가 ‘하나님’을 만나게 된다. 그가 목사 안수를 받던 1925년, 서울 남산엔 조선 신궁이 세워졌다. 이후 황국신민화 정책을 내세운 일본은 천황이 사는 곳을 향해 절하는 궁성요배와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조선인의 생명과 정신까지 무한 수탈하겠다는 것이 일본의 정책 목표였다. 이에 반대하며 ‘일사각오’의 길을 걸어간 주기철은 광복을 1년 앞둔 1944년, 마흔 일곱 살의 나이로 순교한다. 침략자의 거대한 권력 앞에 맞선 작은 개인 주기철. 영화보다 더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던 그의 일대기를 다큐드라마로 만난다.
②13살 아들의 눈으로 본 ‘인간 주기철’
아버지 주기철은 나이 13살에 ‘나라’를 잃고 ‘하나님’을 만났지만, 아들 주광조는 나이 13살에 ‘아버지’를 잃고 ‘하나님’을 등졌다. 역사는 주기철을 독립 운동가이자 순교자로 기록하고 있지만, 아들 주광조는 “내 아버지는 그저 인간적인 사람”이었다고 말한다. 공식적인 역사가 기록하지 못하는 인간 주기철의 고뇌와 번민, 갈등을 13살 아들의 시선으로 재구성한다.
③독립운동가 주기철_ “가장 존경받는 ‘믿음의 선배’”
주기철은 순교자이기 전에 독립 운동가였다. 오산학교를 졸업한 주기철은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으며, 스승 조만식과 전국을 순회하며 ‘물산장려운동’을 펼쳤다. 풍전등화와 같은 조국의 현실 앞에서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그의 민족정신은 ‘신념’을 잊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일까.
④기독교_ “조선통치상의 ‘암’적인 존재”
일제의 탄압에 못 이겨 조선의 종교단체들은 하나둘씩 신사참배를 수용하기 시작했고, 조선예수교장로회마저 신사참배를 결의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기독교는 여전히 일제통치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당시 일제에 맞서다 폐쇄된 교회는 약 200여 개. 목회자와 신도 2천 여 명이 검속되었고, 그 중에 5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종교적 신념을 넘어 범인류적 ‘정의와 신념’의 의미를 묻는, 한국기독교의 독립 운동사를 새롭게 조명한다.
⑤주기철이 남긴 믿음의 유산_ ‘범인류적 양심과 가치’
주기철 그가 떠나고 70년. 우리에겐 ‘일사각오’라는 믿음의 유산이 남았다. 그가 걸어간 ‘신사참배 반대’의 길은 기독교라는 특정 종교의 신념을 넘어선 ‘범인류적 양심이자 가치’였다. 자신의 신념을 죽음으로써 지켜낸 주기철의 삶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묻고 있다. 진정한 신념이란 무엇인가? 죽음과 맞바꿔가며 신념을 지켜내는 힘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오늘날 마음의 중심을 잃어가는 현대인들에게도 신념이 있을까? 있다면 그건 무엇일까?
동영상 (2)
- 제작 노트
-
1. <일사각오>는 어떤 영화인가more
① 팩션 시네마(Faction Cinema)_ ‘역사’와 ‘드라마’의 만남
전 일제강점기를 정면으로 관통하며 파란만장하게 전개됐던 주기철의 삶은, 그의 일대기 자체가 하나의 ‘역사’이며 동시에 ‘드라마’였다. 이 영화는 갈등과 투쟁으로 점철됐던 주기철의 삶을 ‘감동적 스토리’로 엮어내기 위해, 역사적 사실(Fact) 위에 허구적(Fiction) 상상력을 접목한 팩션(Faction)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선보인다. 방송 사극에서 <해신>, <불멸의 이순신>, <주몽>, <대조영>, <태왕사신기> 등 역사를 기본으로 한 ‘팩션 드라마’가 큰 인기를 끌었듯이, ‘팩션 시네마’를 지향하는 이번 작품은 새로운 장르 개척을 위한 또 하나의 실험이자 시도가 될 것이다.
② 방송과의 차별화_ 미공개 대형 몹씬(Mob Scene)
지난 2015년 성탄절. 방송 다큐멘터리 <일사각오_주기철>이 KBS ‘다큐1’을 통해 방영되어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침략자이자 가해자의 나라에서 온 일본인 프리젠터가, 주기철의 흔적을 추적하는 형식은, 방송다큐멘터리의 ‘해설적 전형성’을 넘어서는 신선한 시도로 평가 되었다. 그러나 이번 영화에서는 일본인 프리젠터 씬을 완전히 배제하고, 그 대신 방송에서는 공개되지 않았던 미공개 씬들을 대거 확충했다. ◾주기철이 평양신학교 시절에 스승 조만식과 물산장려운동을 벌이는 장면, ◾부산 초량교회 시절에 가난한 어린들의 허기를 달래고 교육 사업에 힘쓰는 장면, ◾박관준 장로와 안이숙 여사가 일본 제국의회에 들어가 신사참배에 반대하는 유인물을 투척하는 장면 등이 그것이다. 일반인 출연자 200여명 이상이 동원되어 대형 몹씬(Mob Scene)으로 연출된 이 장면들은, 단순한 방송본의 확장을 넘어, 전혀 새로운 작품으로 구성돼 선보일 것이다.
③ 현존 인물들의 생생한 증언
주기철, 그가 떠나고 70여 년. 그가 살았던 시대를 오늘에 되살리는 것은, ‘시간’을 거스르는 일이다. 잊혀진 과거를 현재 속으로 불러와 ‘체온이 살아 있는 이야기’로 전달하는 일. 그것은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주기철 목사가 마산 초량교회 재직할 당시 여대생이었던 홍은혜 권사(100세), 주기철 목사가 산정현 교회 시절 17살 청년이었던 오재길 장로(96세), 산정현 교회 유계준 장로의 손녀들인 유정희(88세) 유정혜(85세) 권사 등 100세에 가까운 현존 인물들을 발굴해 살아 있는 이야기를 전달한다.
④ 최초공개 _ 희귀 기록영상
1930,40년대 군국주의로 치닫던 일제는 황국신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신사참배, 창씨개명, 일장기에 대한 경례 등을 시행했다. 특히 1941년 태평양전쟁과 동시에 일제는 ‘국민 총동원령’을 선포한다. 조선은 비행기뿐만 아니라 놋그릇, 은수저, 금비녀까지 바쳐야 하는‘전쟁협력기관’으로 전락해야 했다. 일상 속에서 벌어졌던 황국신민화 정책의 구체적인 장면들을 기록한 희귀 영상들을 한국영상자료원과 NHK 등을 통해 전격입수, 디지털 복원 작업을 거쳐 최초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