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산다

Sanda

2013 한국 15세이상관람가

다큐멘터리 상영시간 : 93분

누적관객 : 381명

감독 : 김미례

80, 90년대 노동운동에 몸담았던 이들은 20년이 지난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영화는 KT 노동자로 살고 있는 4명의 중년 ‘아저씨’들의 일상에서 시작한다. 이들은 전봇대를 타고, 맨홀 뚜껑 아래로 내려가 보수 공사를 하고, 혼자 소머리 국밥을 먹고, 영업을 뛰기도 하고, 일주일에 한번씩 새벽 차를 타고 가족을 보러 오가며 ‘산다.’ 우리 속에 혹은 우리 이웃에서 묵묵히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이다. 그러나 이들이 말문을 여는 순간, 이들의 일상은 ‘산다’ 그 이상이 된다. 이들은 모두 참다운 노동자의 세상을 꿈꾸었고, KT 인력퇴출프로그램에 맞서 버텨낸 이들이고, 버티고 있는 이들이고, 버틸 이들이기 때문이다. 〈산다〉는 거대 서사로 노동운동의 역사를 풀어내지 않는다. 개개인의 이야기를 통해 오늘의 노동 현장을 담담히 비추어 줄 뿐이다. 그렇다고 여느 후일담 다큐멘터리 영화처럼 80년 90 년대 과거와 그 이후라는 도식 아래 그리움이나 회환이 혹은 반성이 담겨져 있지도 않다. 그저 오늘을 살고 있는 혹은 살아내고 있는 개개인과 대화를 나눌 뿐이다. 대화를 곁에서 조용히 듣던 관객인 우리는 어느새 자기 경험 안에서 노동의 역사이자 나의 역사를 재구성하게 된다.
(홍효숙/2013년 제18회 부산국제영화제)
more

별점주기

0
리뷰 남기기

포토 (2)


제작 노트
연출의도
‘평생직장’이라는 말을 듣고 자란 나는, 그 말이 이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 자신의 몸으로 노동을 해야만 삶을 유지하고 살아갈 수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 지극히 불안정한 노동의 시대라고 말하는 지금, 그렇다면 안정적이라고 하는 정규직은 정말 안녕한 것인가? 나는 정규직들, 특히 8,90년대 노동자 대투쟁의 경험이 있는 중년의 정규직 노동자들이 궁금해졌고, 몇몇 대기업과 대공장에서 일하는 분들의 인터뷰를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제자리를 지키면서 자신의 존엄성조차 지켜 내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그들의 불안한 미래와 현재의 절망에 대해서 듣게 되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사직 강요, 상품강 매, 감정 노동, 임금 삭감…….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말. 하지만 나는 그들이 보지 않고 듣지 않았던 또 다른 선택은 있다고 믿는다. 나는 이 선택의 기로에서 떠나거나 복종하지 않고, 유쾌하게 저항을 해 나가는 이들을 만났다.
more

배우와 스탭

감독

출연

정보가 없습니다.

수상내역

  • [제39회 서울 독립 영화제] 장편경쟁부문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