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광을 찾아 알래스카에 온 찰리는 살인범 블랙의 오두막에서 금광을 찾았다는 멕케이를 만난다. 산속에 갖힌 이들은 원조를 청하는 제비뽑기를 한다. 블랙이 길을 떠나지만 추격중이던 경찰을 만나 죽고,찰리와 맥케이는 너무 배가 고파 구두를 끓여 먹기도 한다. 간신히 마을에 도착한 찰리는 조지아라는 무희에게 반한다. 그녀는 추근거리는 남자들을 따돌리기 위해 찰리와 춤을 추지만, 어느날 그가 자신을 좋아하고 있음을 눈치챈다.
한편 자신이 발견한 금광의 위치를 잊어버린 멕케이는 찰리와 함께 구사일생으로 금광을 다시 찾고 이들은 백만 장자가 된다. 미국으로 향하는 배에서 기자들을 위해 옛날의 넝마를 입고 포즈를 취하던 챨리는 갑판으로 굴러 떨어지는 바람에 조지아를 만난다. 조지아는 그가 무임 승선자인 줄 알고 도와 주려 한다. 그녀의 아름다운 마음씨에 감동한 찰리는 또 한번 깊은 사랑을 느끼고, 그녀의 손을 잡고 카메라 앞에서 포즈를 취한다.
more
한편 자신이 발견한 금광의 위치를 잊어버린 멕케이는 찰리와 함께 구사일생으로 금광을 다시 찾고 이들은 백만 장자가 된다. 미국으로 향하는 배에서 기자들을 위해 옛날의 넝마를 입고 포즈를 취하던 챨리는 갑판으로 굴러 떨어지는 바람에 조지아를 만난다. 조지아는 그가 무임 승선자인 줄 알고 도와 주려 한다. 그녀의 아름다운 마음씨에 감동한 찰리는 또 한번 깊은 사랑을 느끼고, 그녀의 손을 잡고 카메라 앞에서 포즈를 취한다.
- 제작 노트
-
찰리 채플린은 1889년에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1977년에 여든여덟 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열두 살 때 극단의 아역 배우를 시작으로 유리공, 이발사, 팬터마임 배우 등을 전전했으며, 네 번 결혼하고 한 번 약혼하는 동안 열 명의 자녀를 낳았다. 1910년에 팬터마임 배우로 미국에 발을 디딘 그는 이후 40여 년 간 미국에서 살았지만, 1947년부터 시작된 할리우드의 ‘빨갱이 사냥’에 걸려 1952년에 추방당했다. 그는 평생 81편의 작품에 관여했는데, 이 가운데 70여 편에서 직접 감독과 주연을 맡았다.more
<황금광시대>는 흥행에 크게 성공했고 지금도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영화다. <시티 라이트>(1931)가 자본주의가 이미 자리를 잡은 도시의 쓸쓸한 풍경이자 돈과 인격에 관한 수채화라면, <황금광시대>는 황금을 좇아 불나방처럼 헤매는 인간들을 그린 흑백사진이다. <모던 타임스>(1936)가 자본과 권력에 대한 비판의 시작이라면, <황금광시대>는 공격을 위한 몸풀이다. 채플린의 5대 희극 안에는 이 세 편 외에 <독재자>와 <무슈 베르두>가 추가된다. 그리고 이 다섯 편의 희극은 채플린 최고의 영화들 속에 포함된다.
채플린은 삶과 사회에 대해 지극히 비관적이었던 대신에 그것을 묘사하는 무기로 웃음을 선택한 셈이었다. 물론 그가 웃음을 택한 것은 불우했던 시절을 되돌아보지 않으려는 심리와 철벽 같은 세상에 대한 전술이었겠지만, 이 속에 상업주의적 타협이 없었다고는 볼 수 없다. 밝은 화면과 또렷한 사물들, 사건 위주의 단순한 이야기구조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영화는 당시 할리우드의 모두가 그랬듯 예술보다는 상품에 가까웠다. 하지만 채플린의 영화들, 특히 <황금광시대>가 세상을 향해 내쏘았던 질타는 사회비평적 모범으로서 이후의 영화에 끊임없이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정신적인 부분과 더불어 우리는 어두운 도시를 배경으로 한 많은 영화에서 채플린 영화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찰리는 지독한 굶주림 때문에 구두를 삶아 먹으며 구두창의 못을 뼈다귀처럼 핥고, 찰리의 옆에 있던 사람은 찰리를 닭으로 착각하고 덤벼든다. 한편 금광을 발견한 사람들은 서로 금광을 차지하겠다며 자기들끼리 싸우지만, 현실(눈사태)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어디에도 희망은 없고, 현실은 언제나 초라했으며, 욕망은 항상 아귀처럼 달려들었다. 그래서 찰리로 나온 채플린은 웃음으로, 엉뚱한 댄스 스텝으로, 초라함과 낭만이 가득 찬 풍경으로 그것에 대항했다. 하지만 영화는 채플린이 금광을 발견한 사람의 동료가 되고, 게다가 아름다운 주점 무용수를 품에 안고 행복한 웃음을 지으며 키스를 나누려는 장면으로 끝난다. 원래 우수와 비애로 가득한 사회비판적 영화였으나,채플린 역시 할리우드 사람답게 할리우드의 고색창연한 행복한 결말의 관습을 이어받은 것이다. 상업주의와 야비하게 타협한 셈이었다.
이어 <시티 라이트>에서 서정적으로 현대의 모습을 그린 채플린은 <모던 타임스>에 가서야 구체적인 비판을 시작한다. 이것은 <독재자> (1940)의 탄생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 짧은 콧수염의 히틀러와 찰리. 찰리는 꽉 죄는 윗도리와 헐렁한 바지, 군함만한 구두와 대나무 지팡이로 히틀러에 대항했다. 남들은 현실에 안주할 나이인 쉰 살 때의 일이었다.
이런 채플린이 두번째 부인인 리타 그레이와 몰래 결혼하고 <황금광시대>를 만들 즈음, 절망한 독일의 영화예술가들은 <마지막 웃음>(1924)을 만들거나 필름 누아르(film noir)의 원조격인 <활기 없는 거리>를 만들고 있었고, 한국에서는 나운규가 <아리랑>(1926)을 준비하고 있었다. 모두가 이제 막 근대 영화로 진입하던 시기의 일이었고, 그 뒤 각 나라의 영화 역사는 그 나라의 사정에 따라 걸음을 달리했다. <황금광시대>는 이러한 영화사의 비극성과 현대의 비극성 모두를 예고하고 있었다.
-이효인 영화평론가,<세계 영화 100>(한겨레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