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
}
- 원어명Frank Russel Capra
- 직업감독
- 생년월일1897-05-18
- 사망1991-09-03
- 성별남
소개
대표작 <어느날 밤에 생긴 일> <디즈씨 읍내에 가다> <존 도우를 만나요>
“진짜 미국은 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사실은 프랭크 카프라만이 있었는지도 모른다”라는 존 카사베츠의 말처럼, 프랭크 카프라는 동시대 어떤 감독들보다도 미국적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관계를 잘 이해하고 활용한 감독이었다. 1930년대 내내 카프라의 미국적 이상주의는 언론과 관객 모두에게서 열렬한 지지를 얻었다. 2차대전 후 미국의 감독들이 그늘에 가린 미국의 집단적 불안과 만연한 허무주의를 그리고 있는 동안에도 그는 변함없이 상식적인 대의명분과 보통 사람들이 가진 고유한 선함을 옹호했다. 그는 <어느날 밤에 생긴 일>로 스크루볼코미디의 형식을 완성했으며, 흥행과 비평 모두에서 찬사를 받는 일련의 영화들로 컬럼비아를 메이저 영화사로 진입시키는 데 일조했다.
프랭크 카프라는 1897년 5월 이탈리아의 시실리에서 태어났다. 6살 때 전 가족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LA에 첫발을 디딘 전형적인 이탈리아 이민 1세대로 예술고등학교에 진학했지만 정작 전공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화학공학을 선택했다. 졸업 후 군대에서 탄도학을 가르치던 중 1년 만에 군대를 나와 각종 막일로 생계를 꾸려가게 된다.
그의 영화계와의 인연은 1923년부터 시작된다. 당시 무성코미디 영화계의 왕이던 할 로치와 맥 세네트의 코미디 대본을 써주면서 영화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이다. 결국 그는 코미디언 해리 랭던의 시나리오를 쓰면서 배우로 나서기도 했고 1926년 <트램프 트램프 트램프>로 마침내 감독으로 데뷔하게 된다. 1926년 한해에만 무려 4개의 각본과 2개의 영화를 감독하는 활약을 보여주었으나 해리 랭던이 1927년 스스로 감독직을 수행하면서 카프라를 해고하자 1928년부터 컬럼비아영화사를 위해 일하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각본가와 감독을 겸직했고 1931년 각본가 로버트 리스킨을 만나면서 비로소 감독과 제작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리스킨과 카프라의 공동작업은 빛나는 것이었다. ‘카프리스킨 터치’라 불리는 이들 콤비의 작품들은 이후 1941년 <존 도우를 만나요>를 마지막으로 이들이 갈라서면서 끝이 났지만, 카프라도 리스킨도 각자 작업한 작품들의 질은 그들이 손잡고 일했던 성공의 근처에도 이르지 못하는 것이었다.
1933년 <하루 동안의 숙녀 Lady for a Day>로 흥행감독의 위치를 공고히 한 카프라는 1934년 그의 초기 걸작 <어느날 밤에 생긴 일 It Happened One Night>을 만들게 된다. 클라크 케이블과 클로뎃 콜버트 주연의 이 영화는 당시 미국영화 흥행기록을 깼으며, 1934년 아카데미 5개 부문을 수상했다. 물론 카프라도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음은 물론이다. <어느날 밤에 생긴 일>은 앙숙인 커플간의 싸움과 화해, 연애로의 발전을 그리고 있는데 이들의 사회 경제적 차이가 어떻게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화해하는가가 내러티브의 중심 이슈였다. 이를 기점으로 스크루볼코미디는 사회적, 경제적 위치가 상이한 캐릭터의 연인들을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됐으며, 내러티브의 진행 속도가 빠르고, 계급간 차별성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는 스타일을 확립하게 된다.
이처럼 흥행에 성공하자 프랭크 카프라는 할리우드 스튜디오 체제하에 있는 어떤 감독들보다 더 재량권을 가지고 영화를 만들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이 시점부터 미국의 전통적 가치관을 가지고 타락한 대도시와 유한 계급을 뒤흔드는 자부심 강한 미국인들을 그려내는 데 주력하게 된다. 1930년대 후반에서 40년대 초반까지 만들어진 <디즈씨 읍내에 가다 Mr. Deeds Goes to Town>(1936) <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Mr. Smith Goes to Washing-ton>(1939) <존 도우를 만나요 Meet John Doe>(1941)는 모두 이 계열의 작품으로 국가 이데올로기에 대한 순응과 애국심, 대중매체의 조작 같은 전체주의를 강조하는 유토피아적 비전으로 미국인들을 극장으로 끌어들였다. 1938년에는 최초의 미국감독조합을 설립한 후, 초대회장을 맡기도 하는 등 30년대 카프라는 영화 안팎으로 전성기를 구가했다.
전쟁기간 <우리는 왜 싸워야만 하는가 Why We Fight>와 같은 유명한 다큐멘터리를 만든 후 카프라는 당대의 감독 윌리엄 와일러, 조지 스티븐슨과 함께 리버티필름사를 차린다. 그러나 전쟁의 그늘과 더 복잡해지는 사회문제들 앞에서 그의 순박한 이상주의는 점차 관객들을 설득하는 힘을 잃어갔다.
전후 카프라의 인민주의적 선언이자 자신의 영화관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멋진 인생 It’s a Wonderful Life>(1946)의 주인공 조지 베일리(제임스 스튜어트)는 자살 직전까지 몰리지만 한 천사의 도움으로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이 축복이었음을 깨닫는다. 그러나 고통스럽게도 <멋진 인생>은 자신이 그토록 옹호해왔던 미국사회의 모순과 갈등이 영원히 존재할 것임을 암시하는 영화이기도 했다.
1948년 적자에 시달리던 리버티필름이 파라마운트에 팔리고 제작비 마련이 어려워지자 그는 1952년부터 1957년까지 벨 전화사를 위한 4개의 자연 다큐멘터리를 제작한다. 이후 만들어진 그의 영화들 <결합의 상태 State of the Union>(1948) <성공이야 Riding High> (1950) <신랑이 여기 왔네 Here Comes the Groom>(1951) <엉뚱한 일 A Hole in the Head>(1959) <포켓 가득한 기적 Pocketful of Miracles>(1961) 등은 점점 관객들과 멀어져만 가고, 게다가 <성공이야>와 <포켓 가득한 기적>은 자신의 영화를 리메이크한 것이었을 뿐이다.
카프라의 자서전 <타이틀 위의 이름 The Name Above the Title>에 실린 존 포드의 서문에는 그가 지휘하는 영화현장이 ‘콧대높은 왕이자 국회이자 대법원이 통치하는 민주적 소왕국’과 같았다고 적어놓고 있다. 어쩌면 그가 지향했던 미국이란 나라의 원형도 그러한 모습이었는지 모른다. 그러나 오히려 그는 “내가 젊은 감독들에게 하는 충고란 이것이다. 유행을 따르지 마라. 그것을 시작하라”고 말하고 있다. 카프라는 배우를 다루는 감독으로서의 솜씨, 내러티브에 포함된 에너지와 열정, 그리고 유성 영화시기의 영화적 공간에 각종 미국인의 목소리에 탁월한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1982년 미국 영화협회로부터 평생 공로상을 받았고 1991년 9월3일 캘리포니아 라 퀸타에서 아흔넷의 천수를 누리고 사망했다. / 영화감독사전, 1999